4차 산업혁명과 사이버 보안대책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 했다.
2016년을 '4차 산업혁명'이 부상하는 시대로 볼 수 있는데, 2016년 2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다보스포럼에서 '4차 산업혁명'을 안건으로 삼고 심도 있게 이를 다뤘다.
그리고 다보스포럼을 시작으로 구글의 자율주행자동차, 킬러로봇, 알파고, 로테크(Lawtech) 등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한 수많은 혁신기술들이 집중 받았다.
4차 산업혁명은 모든 것들을 연결하고 모든 것들에 지능을 넣어서 인류의 복지를 증진시키는 혁명을 의미한다. 과거에는 사람들이 직접 했던 업무들을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주위에 사물들이 대신 해줌으로서 편안함은 물론이고 효율성을 향상 시켜준다.
가령 자율주행자동차의 경우 자동차 스스로 운전하면서 운전자의 편안함과 동시에 운전자가 자동차 안에서 다른 업무를 볼 수 있게 효율성을 증진시켜 준다. 뿐만 아니라 자동차 사고율을 줄어줘 운전자의 안전성도 높여준다.
이처럼 4차 산업혁명은 사람들에게 편의성을 제공해 복지향상을 이끌어낸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은 긍정적인 부분만 있는 것일까?
4차 산업혁명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모든 것들을 연결하는 인프라가 갖춰져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인프라 구축은 항상 사이버 보안 취약점이라는 수식어가 함께 뒤 따라 온다.
외부와 연결되지 않은 것들을 연결하게 되기 때문에 사이버 보안 취약점은 생길 수밖에 없다.
그래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사이버 보안’의 고려가 필수적 이다.
사이버공격 트렌드를 살펴보면 사이버공격은 지금보다 더 큰 위협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이버공격을 더 위협적으로 만드는 요인은‘내부’와 ‘외부’요인으로 나눠서 바라볼 수 있다.
내부요인은 사이버공격 자체 진화로 인해 위협이 되는 요인이다.
그리고 외부요인은 외부환경의 변화로 위협이 되는 요소인데, 외부환경의 변화가 바로 4차 산업혁명을 의미한다.
4차 산업혁명은 사이버 보안의 취약점과 사이버공격 피해범위도 증가시킨다.
이러한 점은 해커에게 사이버공격에 대한 동기를 증가시키고 사이버공격 무기를 더 정교 하게끔 만든다.
이는 사이버공격 취약이라는 악순환을 불러일으킨다.
이러한 악순환을 끊기 위해서는 국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정교한 사이버 보안 모델 확립이 중요하다.
사이버안전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10가지 보안기술 요구사항을 만족시켜야 한다.
10가지 요구사항으로는,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인증’, ‘부인방지’, ‘접근제어’, ‘추적불가능’, ‘익명성’, ‘확장성’, ‘실시간성’ 이다.
이러한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모바일’과 ‘네트워크’ 보안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그 이유는 모바일과 네트워크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핵심기술이자 사이버 보안의 가장 큰 취약점이기 때문이다.
끝으로 국가안보를 위해 사이버 안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북한은 오래전부터 사이버전쟁을 고려해서 이를 준비해왔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사이버 보안이 큰 이슈화가 될 것임을 이미 알고 있었던 셈이다.
한국정부도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대비를 위해 인력양성과 더불어 사이버 부서를 신설해 운영 중이다.
그러나 북한과 비교했을 때 사이버안보는 매우 취약하다.
한국 정부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안보확립을 위해 사이버 안보를 더욱 강화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