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월 21일 토요일

디지털혁신과 금융서비스의 미래: 도전과 과제 (한국은행)

 뉴딜코리아 홈페이지
http://cafe.naver.com/rapid7/2753
디지털혁신과 금융서비스의 미래: 도전과 과제


□ 한국은행은 「디지털혁신과 금융서비스의 미래: 도전과 과제」 보고서를 지급결제조사자료로 발간하였음

 ―최근 블록체인과 분산원장기술, 인공지능 등 디지털기술이 금융에 도입되면서 다양한 새로운 서비스가 개발·활용되는 등 국내외 금융부문에서 디지털혁신이 크게 진전되고 있음

  ―앞으로 디지털기술 활용이 더욱 확산되면서 기존 금융회사가 담당하던 소비자금융, 자금이체 및 결제, 투자 및 자산관리 등의 영역에서 비금융회사의 역할이 크게 확대될 전망

  ―이러한 디지털혁신에 대응하여 국내 금융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기 위해서는 민간부문과 정책당국간 협업 확대, 개방적 금융 생태계 조성, 주요 제도화 이슈에 대한 논의 등의 전략을 추진해 나갈 필요



요약 : 디지털혁신과 금융서비스의 미래: 도전과 과제


Ⅰ 디지털기술과 금융서비스

□ 최근 분산원장기술, 인공지능 등 디지털기술이 금융에 도입되면서 새로운 서비스가 개발·활용됨에 따라 국내외 금융부문에서 디지털혁신이 크게 진전

 ― 금융부문 디지털혁신을 주도하고 있는 기술로는 블록체인과 분산원장기술, 무선통신기술과 사물인터넷, 바이오인증,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클라우드 컴퓨팅 등이 대표적

 ― 이러한 기술들은 디지털통화, 거래정보기록, 모바일 지급, 생체정보 이용 인증, 로보어드바이저, P2P대출, 크라우드펀딩 등 다양한 형태의 금융서비스에 활용


(블록체인 및 분산원장기술)
□ 블록체인 및 분산원장기술은 민간 가상통화(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등), 금융회사(Citicoin, MUFG Coin 등 개발중) 또는 중앙은행(영국, 캐나다, 스웨덴 등 연구중) 발행 디지털화폐의 기반 기술로 활용

― 또한 글로벌 금융회사와 IT기업 중심으로 거래정보의 기록이 수반되는 다양한 분야의 금융서비스(해외송금, 자금이체, 증권 발행 및 거래 등)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개발중

 ― 국내 금융권에서도 핀테크 업체와의 제휴, 업권별 컨소시엄 구성 등을 통해 활용 방안을 연구중이며 해외송금, 인증 등 일부 업무에서는 사업모델을 출시


(무선통신기술 및 사물인터넷)
□ 무선통신기술은 스마트폰의 급속한 확산과 함께 글로벌 IT기업 중심으로 모바일 지급서비스(애플페이 등)를 제공하는 데 활용

 ― 국내에서도 비금융회사 주도로 모바일 간편결제, 간편송금 영역에서 핀테크혁신이 활발

□ 사물인터넷의 경우 금융부문에서는 아직 도입 초기 단계(페이팔 핸즈프리결제 등)이나 향후 맞춤형 보험료 산정 등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


(바이오인증)
□ 바이오인증기술은 비밀번호 등 기존 인증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편리성과 안전성을 바탕으로 국내외에서 ATM, 인터넷뱅킹, 지급서비스 등 비대면 금융거래 인증에 폭넓게 활용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에 힘입어 자산관리 영역에서 로보어드바이저, 자금조달 영역에서 크라우드펀딩, P2P대출과 같은 서비스가 등장

 ― 로보어드바이저는 기존 서비스에 비해 낮은 수수료를 기반으로 소액투자자에게도 투자자문, 자산운용 등 서비스를 제공

ㅇ 국내에서는 도입 초기 단계이나 핀테크 업체와 금융회사 제휴 또는 일부 금융회사의 자체 서비스 개발 등을 통해 확산중

 ― 크라우드펀딩은 기존 중개기관을 거치지 않고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다수의 개인으로부터 직접 자금을 조달하는 금융서비스로 투자형(증권형), 대출형(P2P대출), 후원·기부형으로 구분

  ㅇ 국내 투자형 크라우드펀딩은 2016년 1월부터 법제화되어 운영중이며, P2P대출중개는 아직 법제화 이전이나 시장이 점차 확대중


(클라우드 컴퓨팅)
□ 클라우드 컴퓨팅은 특정 금융서비스의 기반기술로 직접 활용되기보다는 IT 관련 초기 투자비용 및 유지비용 경감 등을 통해 기업의 스타트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핀테크 전반의 혁신을 촉진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참조 

문의처 : 금융결제국 전자금융조사팀 팀장 김정규, 과장 이주연
         Tel: 750-6764, 6652  Fax: 750-6519  E-mail : bokefr@bok.or.kr


공보관 : Tel: (02) 759-4038, 4135


“한국은행 보도자료는 인터넷(http://www.bok.or.kr)에도 수록되어 있습니다.”
         ※ 조사·연구자료 / 종류별 자료 / 지급결제 조사연구자료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