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전자정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전자정부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9년 3월 28일 목요일

전자정부 웹사이트 UI·UX 가이드라인

  뉴딜코리아 홈페이지 



전자정부 웹사이트 UI·UX 가이드라인

행정안전부에서는 전자정부 서비스의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 관점에서 공공 웹사이트를 설계할 수 있도록 "전자정부 웹사이트 UI·UX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습니다.

행정·공공기관에서는 웹사이트를 신규 구축하거나 개선할 경우, 전자정부 웹사이트의 사용성 개선을 위해 본 가이드라인의 사용자인터페이스·경험(UI·UX)을 준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전자정부 웹사이트 UI·UX 가이드라인은 사용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전자정부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설계 방안을 제공합니다.

가이드라인은 전자정부 웹사이트의 UI·UX에 대한 설계 원칙, 설계 기준, 설계 가이드, 품질 진단서(품질 점검표, 품질 평가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음 목록에서 추진하고자 하는 전자정부 웹사이트 작업이 무엇인지 확인한 후 작업과 관련된 가이드라인 내용을 빠르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 UI·UX를 분석․설계할 때,

구축 또는 개선하고자 하는 웹사이트 유형과 특성을 확인한 후, “설계 가이드”에서 해당하는 UI패턴 유형(공통 패턴 22개, 특화 9개) 별 사용성(134개) 및 접근성(44개) 체크리스트, 적용 예시를 참조하여 분석·설계합니다.

웹사이트 설계의 방향성은 “설계 원칙”에서, 구체적인 점검사항과 행동방안은 “설계 기준”에서 확인가능 합니다.

 o UI·UX 설계 원칙 ․ 011p
 o UI·UX 설계 기준 ․ 018p
 o UI·UX 설계 가이드 ․ 027p


■ 사업 발주서를 작성할 때,

사업 참여자들은 설계 원칙이 담고 있는 전자정부 웹사이트 사용자경험 설계의 목적, 방향성, 기대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고 숙지해야 합니다.

사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제안요청서(RFP, Request For Proposal)에 설계 원칙을 포함시켜야 합니다.

 o UI·UX 설계 원칙 ․ 011p
 o UI·UX 설계 기준 ․ 018p


■ UI·UX 품질을 점검할 때,

품질 점검표(필수 74개 항목, 권장 60개 항목)에 기반하여 UI·UX 관점에서의 전자정부 웹사이트 개선 지점을 확인하고, 설계 가이드의 해당항목을 참조하여 개선합니다.

 o UI·UX 설계 가이드 ․ 027p
 o UI·UX 품질 점검표 ․ 127p


■ 사용성과 관련된 만족도를 조사할 때,

유용성, 효율성 등의 사용성을 측정할 수 있는 품질 평가표(26개 항목)를 활용하여 전자정부 웹사이트에 대한 사용자들의 만족도 수준을 확인하고 설계 기준의 해당항목을 참고하여 개선합니다.

 o UI·UX 설계 기준 ․ 018p
 o UI·UX 품질 평가표 ․ 154p


 - 행정안전부 (작성자 : 정보자원정책과 / 박태균 / 044-205-2811 )


웹품질, 웹접근성, 웹표준 진단
홈페이지/DB 내 개인정보를 점검/ 분석
웹 취약점 진단 및 모의해킹
컨설팅 : ISMS, ISO27001  GDPR,PCI-DSS  
070-7867-3721, ismsbok@gmail.com




2018년 7월 30일 월요일

전자정부(행정·공공기관) 웹사이트 웹 접근성·호환성 수준진단 방법

 뉴딜코리아 홈페이지 




1. 전자정부 웹사이트 웹 접근성·호환성 수준진단 방법

□ 수준진단 기준

❍ (웹 접근성) 국가표준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 24개 검사항목을 2개 전문가 그룹의 교차 수동 평가에 의한 준수도 수준진단


❍ (웹 호환성) 행안부고시 「전자정부서비스 호환성 준수지침」의 진단표에 따라 웹 표준문법(HTML, CSS) 및 호환성(기능, 화면표시), 비표준 기술제거 여부에 대한 자동평가 및 전문가 평가에 의한 준수도 수준 진단

□ 수준진단 환경

❍ (웹 접근성)
- (수준진단 도구) 웹 접근성 자동 검사도구*, 정보통신 보조기기(화면낭독프로그램, 화면확대SW) 등 활용
 * 자동검사도구 : OpenWax, Web Developer, Google Accessibility 등 활용
- (수준진단 활용 웹브라우저*) 인터넷익스플로러(IE) 버전 11, 크롬
 * 웹브라우저 이용률이 높은 크롬(31.98%), IE11(29.16%) 선정( gs.statcounter.com(‘18.2월 기준)

❍ (웹 호환성)
- (수준진단 도구) 웹 표준 문법(HTML, CSS) 자동 검사도구 활용, 호환성
(기능, 화면표시)은 직접 4대 웹브라우저 수동 평가
 * 웹 표준 자동검사도구 : W3C Validator(HTML, CSS) 활용
- (수준진단 대상 웹브라우저) IE11, 크롬, 파이어폭스, 엣지
 * 웹브라우저 이용률 및 레이아웃 엔진이 다른 웹브라우저 선정

붙임1> 웹 접근성 검사항목별 수준 진단 방법
붙임2> 웹 접근성 검사항목별 수준 진단 평가도구 설명


2. 2018년 행정·공공기관 웹사이트 수준진단 설명회 자료집

❍ 웹 호환성
 다양한 웹브라우저에서 웹사이트를 동등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

❍ 웹 표준
 웹 표준은 월드 와이드 웹의 측면을 서술하고 정의하는 공식 표준이나 다른 기술 규격을 가리키는 것

❍ 웹 접근성
 어떠한 사용자(장애인, 노인 등), 어떠한 기술환경에서도 사용자가 전문적인 능력 없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




첨부파일 :



웹사이트 통합관리(접근성진단/품질진단/개인정보진단/자산관리)
070-7867-3721,  ismsbok@gmail.com


2017년 3월 2일 목요일

소프트웨어 개발보안(시큐어코딩) 가이드 (2017년 01월 개정)

 뉴딜코리아 홈페이지 

소프트웨어 개발보안(시큐어코딩) 가이드 (2017년 01월 개정)

안전한 SW 개발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보안 가이드] 개정본입니다(2017.1월)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 정보시스템 구축ㆍ운영 지침」(2016.12.26) 개정으로,

SW 개발보안 적용범위가  설계단계까지 확대됨에 따라, 전자정부 SW개발자가 참고할 수 있도록
본 가이드를 개정ㆍ배포합니다.

<주요 개정내용>
 ㅇ 소프트웨어 개발보안 방법론 소개
 ㅇ 분석/설계단계 보안 고려사항
 ㅇ 기타 구현단계 개발보안 예제 등 보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