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암호화폐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암호화폐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0년 1월 21일 화요일

블록체인 기술 동향 보고서

 뉴딜코리아 홈페이지 
블록체인 기술 동향 보고서



블록체인 전문위원회(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산하) 블록체인 기술 동향 보고서 발간

블록체인 기술의 보안 위협과 대응 방안을 담기 위해 발간됐으며 블록체인 제품 및 솔루션도 함께 소개됐다.


CONTENTS
 o 블록체인과 정보보호
   - 블록체인 기술과  정보보호 산업
 o 블록체인 기반 분산 신원 증명(DID)의 이해
 o 블록체인 기술 특허 동향 분석
o  블록체인 보안 관련 제품 및 솔루션 소개


☞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 바랍니다.


컨설팅 : ISMS-P, ISO27001, GDPR, PCI-DSS 
취약점 진단 및 모의 침투
개인정보 비식별화 솔루션
보안솔루션 공급
070-7867-3721, ismsbok@gmail.com
 

2018년 7월 8일 일요일

블록체인 어디에 응용하고 있나 (응용 사례와 분야별 특성을 중심으로)

 뉴딜코리아 홈페이지

블록체인, 어디에 응용하고 있나

- 응용 사례와 분야별 특성을 중심으로 -



I. 분석 배경 및 내용

1. 분석 배경

○ 초연결 기반의 지능화 혁명으로 정의되는 4차 산업혁명에서 ‘초신뢰를 주도하는 핵심 인프라’로 블록체인(Blockchain)이 부상

    * 4차 산업혁명 핵심 인프라 기술 : DNA (빅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 블록체인 (과기정통부, ’18.1)

  -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등 상호작용에 있어서 신뢰를 재정의함으로써 금융뿐만 아니라 산업 전반의 생태계를 변화시킬 잠재력 보유

○  블록체인은 네트워크 內 모든 참여자가 공동으로 거래 정보를 검증‧기록‧보관 할 수 있는 분산장부기술(DLT;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로 주목

  - 모든 거래의 기록 및 관리에 대한 권한에 대해 신뢰기관 없이 P2P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된 정보들을 블록(Block)으로 기록하고 관리

  - 블록체인 기술의 핵심은 ‘중앙기관 없는 P2P 신뢰 네트워크’ 구축

○ 최근의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은 주로 ‘기술 중심’에서 개념, 구조 및 특징과 암호화폐(가상통화) 거래 등에 치우쳐, 해당 기술의 응용 확산에 따른 산업 생태계 변화, 新서비스 시장 창출 등 ‘시장 중심’의 분석 및 대응이 부족

  - 본 보고서는 블록체인 기술의 다양한 응용 사례 및 현황 분석을 통해 서비스인프라로서의 잠재력과 산업 활성화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고자 함



2. 분석 내용

○ 블록체인 기술의 다양한 응용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시장 측면(Market aspect)의 시사점을 도출‧제시함으로써, 산업 활성화를 위한 올바른 방향성 정립에 기여

  - 블록체인 기술과 시장은 모두 성장 초기 단계로 즉, 기술 발전과 서비스 구현에있어 혁신 및 비즈니스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가 진행 중

○ 대표 응용 주체는 암호화폐, 은행 등 금융 영역뿐만 아니라, 공공과 민간 영역에서도 다양한 참여자가 블록체인 적용을 통한 새로운 가치 창출에 노력 중

  - 응용 분야는 화폐, 결재, 송금 등 금융 업무뿐만 아니라, 부동산, 유통, 신원관리, 미디어, 인증/허가/보증, IoT, 투표 등 가치 교환 및 증명, 시간흐름에 따른 추적 등 혁신이 일어날 수 있는 많은 분야에서 적용이 시도 중

○ 5대 분석 대상별 적용 사례를 조사한 후, 응용 특징 및 시사점을 도출

  - 블록체인은 결재/송금, 화폐 등의 기능을 통해 ‘금융’ 서비스 영역에 먼저 적용 되면서 잠재성이 인식된 후, 다양한 ‘비금융’ 산업에서의 활용이 확산되는 중

  - 따라서 분석 대상을 크게 ‘금융’과 ‘비금융’ 부문으로 구분하고,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생태계 내의 위상을 고려하여 금융 부문에서 독립적으로 구분

 ※ 금융 부문의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응용의 대표 분야이자 응용을 위한 사업 주체이며, ‘금융기관’은 블록체인 적용의 대표 주체로 은행, 금융컨소시엄 등이 존재

 ※ 비금융 부문의 ‘산업특화’는 특정 산업 영역에서 블록체인 응용 목적성을 가진 기업 혹은 프로젝트로 구성되며, ‘공공기관’은 각국 정부, 지자체 등을, ‘민간기업’은 고유의 사업영역과 더불어 블록체인 도입에 적극적인 IT 기업이 해당


첨부파일 : 블록체인 어디에 응용하고 있나 (응용 사례와 분야별 특성을 중심으로)

I. 분석 배경 및 내용 1
1. 분석 배경 2
2. 분석 내용 3

II. 응용 사례 분석 5
1. 암호화폐 6
2. 금융기관 51
3. 산업특화 60
4. 공공조직 94
5. 민간기업 111

III. 요약 및 시사점 125
1. 요약 126
2. 시사점 131

참고문헌 135

본 보고서의 내용은 연구자의 견해이며 ETRI의 공식 의견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ISMS 인증컨설팅 | 취약점 진단 및 모의 침투 | 보안솔루션 공급
(070-7867-3721, ismsbok@gmail.com )